Jeon Jae Bong Studio

Village of Learning

정성윤 / Jung Sungyoon

Village of Learning

목동사교육의 특성을 활용한 커뮤니티 단지설계

정성윤 / Jeon Jae Bong Studio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목동(경인고속도로 홍익병원사거리-청소년수련관 구간)

용도 : 교육 연구시설, 문화시설

층수 : 1F –5F

대지면적 : 35,000 ㎡

Agenda

목동은 1983년에 계획된 계획도시로 40년이지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개발계획이 이루어지고 잇다. 그 중 경인 1지하차도의 목동 구간은 목동 내 단절을 야기하는 장소였지만, 단절의 해소로 인해 연결의 장소로 변화하여 커뮤니티 거점의 역할을 하는 장소가 된다. 또한 목동은 높은 교육열이 존재하는 특수성으로 인해 생겨난 사교육의 커뮤니티적인 특성이 있다. 이에 집중하여 경인 1 지하차도 목동구간에 목동의 학부모와 학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설로서의 학원 공간을 조성하여 사교육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사교육 타운을 조성하려 한다.

Theme Background

(주제와 관련된 배경 설명/ 프로젝트관련 이슈에 관련된 디테일한 설명(역사, 현상황 등)

1983년 대규모 주거단지로 계획된 목동은 주요 학군지의 배치로 인해 사교육이 발전하였고, 대치동 다음으로 ‘사교육 2번지’로 불린다. 목동은 개발된 지 40년이 지나며 지구단위계획, 신시가지 아파트 대규모 재건축 등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경인1지하차도 지하화 사업’은 목동을 약 1.5m의 낮은 레벨로 통과하던 경인1지하차도를 지하화하고, 상부를 평면화하여 도로로 인해 발생한 단절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이트이자 목동을 관통하는 홍익병원사거리–양천청소년수련관 구간은 이 상부 평면화가 이루어졌을 때, 단절되었던 4단지와 7단지가 연결되며 목동 내 중요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동의 사교육 구조는 학군지 배치, 대규모 주거타운이라는 지역적 특성, 사교육 기관의 질적·양적 성장, 그리고 학원을 매개로 한 학부모 커뮤니티 이 세 가지 요소가 연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성장해왔습니다. 목동에서 학원이라는 프로그램 안에서 학생, 학부모는 자연스럽게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이로인해 학원은 단순한 교육 공간을 넘어, 지역 내 강력한 커뮤니티 형성의 매개체로 기능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단절이 해소되어 커뮤니티 거점이 될 공간에 목동을 강하게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학원이라는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커뮤니티 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Concept

기존 사교육 공간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폐쇄적이고 단절적인 요소에 대응하기 위해, 본 계획은 작은 단위(Unit)의 학원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개방적이고 유연한 연결 공간으로 구성되어, 적극적인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디자인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Unit Design

대한민국 학원법상 학원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수강 인원이 9인 이상이면 학원, 9인 이하이면 교습소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면적과 시설에 대한 법적 기준도 달라진다. 학원은 주로 학습 및 강의 중심의 기능을 수행하며, 교습소는 흔히 ‘공부방’으로 불리며 보습과 보육의 성격이 강하다. 이에 따라 각 단위를 학원과 교습소로 나누고, 각각의 기준에 맞는 면적과 기능을 반영하여 유닛을 설정하였다. 또한 학원이라는 공간의 사적 성격을 존중하고자 유닛 외부에 수직 루버를 두어 시야 간섭과 소음을 차단하였다. 아울러 학원이 특정 시간대에만 사용되는 공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비사용 시간대에는 루버를 폴딩해 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가변적 설계를 적용하였다.

Masterplan

사이트 전체는 기존 도로였던 공간으로, 기존 통과 교통량으로 인한 보행 차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가도로를 설치하고 통과 교통 흐름을 상부로 분리하여 대응하였다. 단위의 배치와 연결 방식은 긴 선형의 대지를 따라 주변 사이트의 문맥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소규모 그룹의 공동체 형성을 중심으로 한 교습소 밀집 구역, 두 대단지가 맞닿아 가장 빈번히 주민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중심 커뮤니티 구역, 목동 주요 학원가의 흐름에 인접한 학원 중심 구역으로 나누었으며, 각 구역의 성격에 맞추어 유닛을 계획하였다.

Masterplan Detail

학원 중심 구역과 교습소 밀집 구역에서는 각각 학원과 교습소가 밀집되도록 배치하였으며, 교습소 구역에서는 소규모 소통이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학원 구역에서는 넓은 단위의 커뮤니티가 형성되도록 광장과 연결부(데크)를 계획하였다. 또한 두 구역 모두 드롭오프 존을 계획하여, 학원이 끝나는 시간대에 발생하는 학부모 차량 및 셔틀버스로 인한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중심 커뮤니티 구역은 4단지와 7단지를 연결하는 주요 보행축으로서 자동차 통행을 통제하고, 학원 및 교습소 유닛을 도서관, 소모임실 등 주민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사이트 전체적으로는 학생, 학부모, 주민들이 연결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마주치며, 시험이 끝나고 우울해하는 학생을 위로하는 친구, 광장에서 뛰노는 아이들, 부모를 기다리는 학생 등 일상의 감정과 상황이 녹아드는 도시의 풍경을 상상하며 계획하였다.

Location

Other Projec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