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Kang Jun Studio

SPORTSCHOOL

김홍인 / Kim Hong In

SPORTSCHOOL

학생과 대중이 공유하는 복합체육학교

김홍인 / Lee Kang Jun Studio

학교와 체육시설의 복합건축물 연구

이 설계의 주제는 ‘운동 경기장과 학교의 복합화’이다. ‘우리나라 경기장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을까? 라는 물음에서부터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월드컵과 올림픽 등 체육행사를 거친 뒤 엘리트 체육의 열풍으로 전국에 경기장들이 생겨났다. 하지만 대부분 경기장은 일년에 평균 5일 남짓 쓰일 정도이고, 엘리트 체육만을 위해 사용되어 일반인이 사용할 수 없다.

생활체육 참여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오늘의 경기장은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였고 경기장을 지을 때 생활체육까지 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그리고 체육시설이 모든 시간대별로 밀도있게 쓰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였고, 체육시설의 이용률이 낮에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체육활동과 가장 밀접해야 하면서도, 참여율이 가장 낮은 계층이 10대임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가 체육시설에 갈 시간이 없고 멀어서이다.

그렇다면 체육활동을 하고 싶어하는 10대를 위해, 낮 시간대에 체육시설을 밀접하게 쓸수 있게 체육시설과 학교를 복합화하는 안을 제시한다. 교육부의 학교복합화 기조를 이용하고, 개방형 자율학교라는 제도를 이용해 전국단위 모집하는 자율중학교와 자율고등학교, 그리고 체육시설을 복합화한다.

세종시가 전국 유일 종합경기장이 없는 지자체임을 발견하였다. 종합경기장을 지으려고 계획했지만, 과거의 계획을 답습하면서 많은 반대를 받아 건립이 지연되고 있는 사이트를 이용해서 설계안을 제시한다. 대지는 세종시 BRT와 고속버스터미널이 근처에 있는 교통 요지에 위치하고 금강을 북측에 낀 환경이다.

체육시설과 학교의 관계를 생각했을 때, 학교가 생활체육시설들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쉽게 체육시설로 접근하며 쉬는 시간에 체육활동을 보고 참여할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평면 배치를 했을 때 경기장이 잘 보이며 데드스페이스가 적은 육각형을 건축 언어로 선택하였다.

Work Detail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