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Kang Jun Studio

SAN,송현미술관

이한울 / Lee Hanul

SAN,송현미술관

Songhyeon Art Network

이한울 / Lee Kang Jun Studio

Introduction

위치 : 서울 종로구 송현동 48-9

용도 : 미술관 [문화시설]

층수 : B2 – 3F

대지면적 : 37,000㎡

건축면적 : 12,649㎡

연면적 : 45,821㎡

Agenda

Surface를 통한 건축물은 건물과 지형, 실내와 실외, 실내 건축 요소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특징을 가진다. 지붕과 지형의 연속성을 통해 외부 동선을 수용하면서 건축과 지형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은 건물에 랜드스케이프적 요소를 부여한다. 가령 스노헤타의 부산 오페라하우스는 서피스의 변형을 통해 위의 건축공간을 만들어낸다. 지붕과 지면에 연속성을 필두 랜드스케이프적인 요소를 갖춘 랜드마크 건축물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서피스를 통한 모호한 경계의 구축, 이것이 발현될 수 있는 적합한 장소, 나아가 수용되는  프로그램과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Theme Background

서울 중구 경복궁 옆에 위치한 송현동 부지는 조선시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친 역사 속에서 보존된 부지이다. 조선 왕가의 사유지, 일제시대 친일파 주거지, 미군 거주지, 기업 자본 전략을 위한 부지를 지나 주변경관 및 시설에 따른 법적규제를 통해 현재는 서울시에서 해당 부지를 매입한 상태이다. 서울시는 역사성과 공공성을 고려하여 ‘송현동 열린녹지광장’ 계획을 통해 해당부지를 공원화하였고, 2027년까지 이건희 기증관(가칭)을 설립하여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여러 국립미술관과 연계한 문화공원 조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중이다. 여기서 기증관이 될 건축물에 있어 현재 도시에서 공원인프라로 작용하고 잇는 송현동열린녹지광장의 쓰임은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건축물이 구축된 후에도 현재 광장에서 발생하는 시민들의 야외활동을 수용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원의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건물의 용도를 실현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한 건축과 지형의 모호화된 경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건물의 지붕과 지형에 연속성을 부여하여 외부 동선과 행위를 수용하고자 한다.

Concept

해당 사이트의 지역성은 북악산의 지세와 이에 순응하는 건물들의 상황에서 나온다. 건물 높이에 대한 규정으로 인해 건물은 산을 가리지 않으며, 산은 하늘과 맟닿아 보행자들에게 북악산과 어우러진 스카이라인을 제공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환경에서 비롯된 지역성을 건축에 담아내고자 산의 형상을 차용하기로한다.

Drawings

산의 형상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평면과 단면을 나누어 고려한다. 우선 평면에서는 원와 이에 접하는 곡선의 정의를 활용하여 산줄기가 갈라지는 현상을 표현한다. 이는 radius로 이루어져 제어에 용이하고, 해당 사이트의 다양한 접근경로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접근이다. 다음으로 단면에서는 융기하는 산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박공형태를 채택하고, 이를 평면과 결부지어 형태화 할 수 있도록 라이노 명령어 중 SWEEP2를 사용한다. 이 후 내외부적인 조건 [프로그램, 접근성 등]에 가장 부합하는 형태를 찿아간다.

Locatio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